Joonkyu Park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샌디 맥과이어가 대학교 때 조교가 잘 모를 것 같은 언어로 하면 점수 잘 받을 것 같아서 하스켈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 도와준 친구 이름이 ‘닥터 모나드’라고⋯
@hollo@joonkyu.site · 35 following · 18 followers
Haskell programmer and father of three from South Korea.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샌디 맥과이어가 대학교 때 조교가 잘 모를 것 같은 언어로 하면 점수 잘 받을 것 같아서 하스켈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 도와준 친구 이름이 ‘닥터 모나드’라고⋯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6분 40초짜리 음성 파일이 생성됐다. 자기 전에 잠깐 들어볼까! https://notebooklm.google.com/notebook/cf426268-caad-4b62-afc6-0b89795ab9d3/audio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와, 대박이다! 진짜 재밌게 잘 들었다!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6분 40초짜리 음성 파일이 생성됐다. 자기 전에 잠깐 들어볼까! https://notebooklm.google.com/notebook/cf426268-caad-4b62-afc6-0b89795ab9d3/audio
@hollo@joonkyu.site
구글 노트북LM이 장안의 화제다. https://www.facebook.com/share/p/18oR2q3fPm/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우선 다음과 같이 요약을 해줬다.
팟캐스트 인터뷰 발췌록에는 Haskell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과 관련 서적 집필에 대한 샌디 맥과이어와의 대화가 담겨 있습니다. 그는 PHP 같은 다른 언어보다 Haskell을 선택한 이유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설명합니다. 인터뷰에서는 Haskell의 장점,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타입 시스템의 활용과 같은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집니다. 또한 효과 처리 라이브러리 개발 경험과 Haskell의 발전 방향에 대한 견해도 공유됩니다.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첫 번째 자료로 하스켈 재단의 팟캐스트 중 《Thinking with Types》의 저자 샌디 맥과이어(Sandy Maguire) 님의 인터뷰 오디오 파일을 업로드 해보자!
@hollo@joonkyu.site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어떤 자료를 던져볼까?
@hollo@joonkyu.site
구글 노트북LM이 장안의 화제다. https://www.facebook.com/share/p/18oR2q3fPm/
@bgl@hackers.pub
어릴때 알고리즘 문제풀면서 시꺼먼 터미널만 보다가 저기 있는 예시 따라해서 GUI 프로그램이 뜨는거보고 즐거웠던 기억이 난다.
RE: https://hackers.pub/@aioo/01968b3c-a3cb-78dc-b781-c25e01650ec3
@aioo@hackers.pub
이 사이트가 아직도 살아있구나. http://www.soen.kr/ (구 winapi dot co dot kr)
알고리즘 공부하시는 분과 이야기 나누다가 생각나서 오랜만에 들어가봤는데 여전한 모습이었다. 정올 공부할 때나 윈도 프로그램 개발할 때 자주 들락거리던 사이트인데 반가운 마음...
@hollo@joonkyu.site · Reply to lionhairdino's post
@lionhairdino 2,750 원 내고 1년 치 결제했습니다.
@hollo@joonkyu.site
@aioo@hackers.pub
이 사이트가 아직도 살아있구나. http://www.soen.kr/ (구 winapi dot co dot kr)
알고리즘 공부하시는 분과 이야기 나누다가 생각나서 오랜만에 들어가봤는데 여전한 모습이었다. 정올 공부할 때나 윈도 프로그램 개발할 때 자주 들락거리던 사이트인데 반가운 마음...
@nyeong@hackers.pub · Reply to lionhairdino's post
@lionhairdino 다행히 여건이 괜찮아서 모두 출석할 수 있었습니다 ㅋㅋ 하스켈 재밌더라구요
@hongminhee@hollo.social · Reply to Joonkyu Park's post
@hollo 따로 글이 지워지거나 옮겨지지는 않고요, 팔로워가 새 계정으로 옮겨집니다. 그리고 예전 계정은 아마 못 쓰게 될 겁니다. 로그인은 되는데 새 글을 올리거나 하는 게 막힐 거예요.
@hollo@joonkyu.site
@hongminhee Hollo에서 계정 이전(Migrate)의 영향은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제가 우리.인생 계정을 Hollo로 이전하면 우리.인생에서 제 툿이 모두 사라지나요?
@hollo@joonkyu.site
@hongminhee Hollo에서 계정 이전(Migrate)의 영향은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제가 우리.인생 계정을 Hollo로 이전하면 우리.인생에서 제 툿이 모두 사라지나요?
@hollo@joonkyu.site
액티비티퍼브에서 Note
는 한 문단 정도의 짧은 글, Article
은 긴 글을 나타내는 타입인데 특별히 둘을 구분하는 길이가 정해져 있지 않다. 해커즈 퍼브에서는 각각 ‘단문’과 ‘게시글’로 부른다.(확실하지 않지만)
@hollo@joonkyu.site
액티비티퍼브에서 Note
는 한 문단 정도의 짧은 글, Article
은 긴 글을 나타내는 타입인데 특별히 둘을 구분하는 길이가 정해져 있지 않다. 해커즈 퍼브에서는 각각 ‘단문’과 ‘게시글’로 부른다.(확실하지 않지만)
@realgsong@silicon.moe
글이 좀 서툴러 보이더라도 ai 안 거치고 직접 쓴 글들이 글 맛이 있어서 좋긴하다.
@kodingwarrior@silicon.moe · Reply to Jaeyeol Lee (a.k.a. kodingwarrior) :vim:'s post
phanpy래 fedify
@kodingwarrior@silicon.moe
해커스펍은 나에게 있어서 훌륭한 교과서..... (열심히 코드 뜯어보면서 뭔가를 만들고 있다는 뜻ㅎ)
@hollo@joonkyu.site
해커즈 퍼브에서 발행된 Article
이 마스토돈(우리.인생)에서는 링크로만 보이는데 Hollo에서는 타임라인에서 Article
전문이 바로 다 보인다.
@hollo@joonkyu.site
해커즈 퍼브에서 발행된 Article
이 마스토돈(우리.인생)에서는 링크로만 보이는데 Hollo에서는 타임라인에서 Article
전문이 바로 다 보인다.
@index@guji.jjme.me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란 개인이 삶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또는 문화적 측면에서 온전히 참여할 수 없는 상태와 그런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런 상태로 만드려는 과정을 가리키는 말입니다.(Report on the World Social Situation 2016, p.19)
『사회적 배제주의Social Exclusionism』라는 말은, 더 좋은 표현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상태를 추구하는 움직임을 가리키기 위해 붙인 이름입니다. 대충 다음과 같은 사례들, 그런 사례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사례들을 보다가 이 문서를 쓰게 되었습니다.
이런 사례의 대부분은, 사회적으로 배제하려는 대상이 사회에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해 알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과, '어쨌든 나는 보기 싫다'는 심리를 사회가 동의해야 한다고 믿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 구조의 많은 장치들은 힘을 가진 권력자―대개는 국가겠지요―가 개인―사람을 포함하겠지만, 국가만큼이나 힘이 있는 자본가나 기업도 여기 포함되겠지요―에게 할 수 있는 폭거를 제지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합니다. 민주주의 사회라면 가져야 할 표현의 자유, 정치 참여의 자유 같은 개념들은, 사실 개인과 개인의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만큼 국가가 개인에 대해서 행할 수 있는 폭거에 대해서는 우리가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러니까 한 사람 한 사람이 주권을 가져야 하는 사회에서, 그 주권자들이 "어떠한 사람들을 사회적으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무엇으로 다스려야 할까요? 다스릴 수 있는 것일까요? 어떤 근거로? 누가? 저는 이 문제에 답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어떻게 답을 내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kiding.bsky.social@bsky.brid.gy
이건 좀 억울할 게 부사장도 열심히 해명을 하지만 디스크 레벨(at rest) 암호화 얘기도 아니고 통신 레벨(in transit) 암호화 얘기도 아니고 DB ID랑 암호로 쿼리했을 때 돌아오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았다고 잘못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중 암호화" 하라는 건데, 일반적인 공격 모델에서 해커는 보통 서버 코드와 변수를 볼 수 있으므로 의미없는 행위다*. 청문회 중 이준석은 어느 순간부터 자신있게 해시를 암호화라고 말하기 시작해서 더욱 혼란스럽게 만드는데, 조금이라도 프로토콜이나 암호학 지식이 있다면 이런 말 못한다.
RE: https://bsky.app/profile/did:plc:wxbkg2wk54g6s2nmb7jd5p74/post/3lnzo7xk7ec2y
@bgl@hackers.pub
휴일인지 깜빡하고 출근해버렸다ㅋㅋ
@z9mb1@hackers.pub
문득 컴파일러가 제일 중요한거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먼지가 잔뜩 쌓인 Crafting Interpreters를 꺼내며... 올 해 안에는 완독하고 싶고 만들고 싶은데 영 엄두가 안나네
@kodingwarrior@hackers.pub · Reply to Jaeyeol Lee's post
진심 나 이 책 가지고 프론트엔드, SRE, 백엔드 요렇게 모아놓고 스터디 한번 해보고 싶어. 책 자체가 좀 근본이기도 하고, 각자 다른 관점의 실무를 하는데 맥락이 어떻게 이어지는지도 좀 궁금해
@robin_maki@planet.moe
출시했다
https://typie.co